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1회용품 줄이는 '제로마켓 활성화 지원 사업' 95곳 운영비 지원

by 자유를 꿈꾸다 2022. 10. 24.

쓰레기 없는 (제로 웨이스트) 소비문화 확산을 위해 서울시가 '민간 제로마켓 활성화 지원 사업'을 추진합니다. 1회 용품 및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 축소를 위해 '제로마켓' 95개소 지원 사업자를 선정하고 최대 800만 원의 조성 및 운영비를 지원했다고 10월 24일 밝혔습니다.

 

제로마켓이란 일회용품 및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을 최소화한 다양한 형태의 매장을 말합니다. 소분 및 다시 채움(리필) 제품 및 무포장 제품 등을 판매하는 일반적인 제로 웨이스트 매장보다 더 폭넓은 의미를 지닙니다. 제로마켓은 다시 채움 제품과 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원 순환 활동 운영 매장, 환경교육을 진행하는 매장 등 다양한 콘셉트로 운영됩니다. 

 

서울시는 서울디자인재단과 함께 2022년 6월부터 9월까지 공모, 서류심사, 현장심사, 현장점검 등을 통해 최종 95개소 지원 사업자를 선정해 200만 원에서 최대 800만 원의 비용을 지원했습니다. 

<지원 대상별 지원 규모>

내 용 대상수 사업별지원액
단독매장 신규 개설
(일반상가, 역사 내 빈상점, 주민센터, 도서관 등)
5 8,000,000
일반 매장 내 제로마켓 코너 신설
(꽃집, 반찬가게, 카페, 슈퍼마켓, 생협 등)
30 2,000,000
찾아가는 제로마켓 운영
(종교시설 및 아파트 등 운영 주말장터에 매대 개설)
10 2,000,000
기존 운영중인 제로웨이스트 매장 50 2,200,000
총 사업예산 범위 내에서 사업계획 심사 후 지원 대상 사업장 및 지원금액 변경 가능

 

선정된 사업자에게는 지난달 9월 5일 제로마켓 사업 개설 및 운영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였고,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협력 관계망을 구성했습니다. 서울시는 앞으로 공동구매 및 홍보 등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매장에 대한 다양한 소식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찾을 수 있으며, 스마트 서울맵에서도 조성이 완료된 매장의 판매물품, 위치, 전화번호 등 관련 정보를 순차적으로 게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 서울맵: http://map.seoul.go.kr/ 

 

스마트서울맵, 더 스마트한 서울지도

스마트서울맵은 도시생활지도, 3D 서울지도, 시민말씀지도, 코로나19 지도, 시민참여지도 등 대표 서울지도 서비스입니다.

map.seoul.go.kr

제로마켓에서는 다시 채움 제품과 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자원순환 활동(우유팩, 이어폰 등 회수) 운영 매장, 환경 교육을 운영하는 매장, 카페나 공방과 함께 운영하는 매장 등 다양하여 방문하는 시민은 매장별 다채롭고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다시 채움 제품이란? 다른 포장 없이 원하는 내용물을 채우는 제품을 말합니다. 최근 리필 스테이션 이리 필 스테이션이 인기가 많으며, 리필 스테이션이란 다른 포장 없이 원하는 내용물을 채우는 장소를 말합니다. 결제성과 홍보성을 모두 잡을 수 있는 기업들은 독자적인 리필 스테이션을 구축하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지원 사업으로 쓰레기 없는 소비문화가 시민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는 시발점이 되기를 바라고, 앞으로 제로마켓이 시민들이 즐겨 찾는 일상 속 친환경 소비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자원순환과 에서 말했습니다.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에도 '제로마켓 활성화 지원 사업' 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서울시 지원이 필요한 업체들은 미리 계획하여 내년 제로마켓 활성화 지원 지원사업에 신청하도록 준비하시면 됩니다.

댓글